저번 글에서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
가비아 도메인 구매
오늘은 드디어 도메인을 구매해 볼 시간이다! 가비아에서 구매를 진행했다.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원하는 도메인을 입
sollogging.tistory.com
오늘은 구매한 도메인을 EC2 서버에 연결해 보겠다.
Amazon Route 53 | DNS 서비스 | AWS
Amazon Route 53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웹 서비스입니다. Route 53는 사용자 요청을 AWS 또는 온프레미스에서 실행되는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합니다.
aws.amazon.com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을 해준다.

도메인 이름에는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설명은 선택사항)
호스팅 영역 생성을 한다.

레코드가 2개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값은 가비아 도메인의 네임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레코드 이름엔 www를 넣고
값에 EC2 퍼블릭 ip주소를 넣고 레코드를 생성한다.

가비아에서 서비스 관리 > 해당 도메인 관리 > 도메인 정보 변경 페이지로 들어간다.

네임서버 설정으로 들어간다.

각각 1,2,3,4차에 aws에 4개 라우팅 대상 주소를 하나씩 넣어준다. 끝에 마침표는 빼고 작성한다.
적용을 하면! 끝이다

적용되기까지 시간이 몇 분 소요되었다.
'Project > folio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1차 완성 🎉(+검색엔진에 내 사이트가 뜬다!) (0) | 2024.04.04 |
---|---|
axios의 onUploadProgress를 활용한 progressBar 로딩 처리 (0) | 2024.04.03 |
가비아 도메인 구매 (0) | 2024.03.21 |
[patch-package] library custom하는 방법 (0) | 2024.03.11 |
google oauth 구현 (0) | 2024.02.16 |
저번 글에서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
가비아 도메인 구매
오늘은 드디어 도메인을 구매해 볼 시간이다! 가비아에서 구매를 진행했다.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원하는 도메인을 입
sollogging.tistory.com
오늘은 구매한 도메인을 EC2 서버에 연결해 보겠다.
Amazon Route 53 | DNS 서비스 | AWS
Amazon Route 53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웹 서비스입니다. Route 53는 사용자 요청을 AWS 또는 온프레미스에서 실행되는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합니다.
aws.amazon.com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을 해준다.

도메인 이름에는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설명은 선택사항)
호스팅 영역 생성을 한다.

레코드가 2개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값은 가비아 도메인의 네임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레코드 이름엔 www를 넣고
값에 EC2 퍼블릭 ip주소를 넣고 레코드를 생성한다.

가비아에서 서비스 관리 > 해당 도메인 관리 > 도메인 정보 변경 페이지로 들어간다.

네임서버 설정으로 들어간다.

각각 1,2,3,4차에 aws에 4개 라우팅 대상 주소를 하나씩 넣어준다. 끝에 마침표는 빼고 작성한다.
적용을 하면! 끝이다

적용되기까지 시간이 몇 분 소요되었다.
'Project > folio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1차 완성 🎉(+검색엔진에 내 사이트가 뜬다!) (0) | 2024.04.04 |
---|---|
axios의 onUploadProgress를 활용한 progressBar 로딩 처리 (0) | 2024.04.03 |
가비아 도메인 구매 (0) | 2024.03.21 |
[patch-package] library custom하는 방법 (0) | 2024.03.11 |
google oauth 구현 (0) | 2024.02.16 |